-
박물관소식언론보도 [뉴스H] 한양대학교 박물관, ‘뮤지엄 X 만나다’로 전하는 소장품 이야기 [포토스토리] 한양대학교 박물관, '뮤지엄 X 만나다'로 전하는 소장품 이야기 '뮤지엄 X 만나다'는 2025년 '박물관·미술관 주간'의 핵심 프로젝트로 전국 50개 박물관·미술관이 대표 소장품을 새롭게 조명한다. 한양대 박물관도 <감각의 확장, 전자시대> 전시를 통해 국내 최초의 컴퓨터인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를 선보이며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한양대 박물관의 특별한 소장품과 함께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함께 만나보자. 타자기는 글쓰기를 단순한 기록 행위에서 감각의 확장으로 이끌었다. 기계에 익숙해진 손끝은 일정한 타건 소리를 만들어냈고, 이는 새로운 리듬과 속도를 통해 우리의 사고와 표현 방식을 바꾸어 놨다. 여러 개의 활자를 조합해 글자를 찍어내는 과정은 노동의 효율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기록 문화에도 큰 변화를 불러왔다. 한양대 박물관은 이러한 타자기의 등장을 통해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이어지는 기록 도구의 변화를 보여준다. 라디오와 텔레비전의 등장은 우리의 감각을 확장하며 생활 속 기록 문화를 바꾸었다. 1877년 에디슨이 축음기를 발명한 이후 사람들은 소리를 저장하고 재생하는 경험을 통해 새로운 정보 전달 방식을 접하게 됐다. 이후 라디오는 전파를 통해 음성을 멀리까지 전달하며 소식을 전하는 매체로 자리 잡았다. 한편, 텔레비전은 시각적 이미지까지 더해 대중의 생활 전반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전시를 통해 듣고 보는 기기의 역사가 어떻게 우리의 일상과 사고를 변화시켜 왔는지 살펴볼 수 있다. 전서구와 주판, 타자기와 같은 아날로그 도구에서 시작해 오늘날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기록과 전달은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진공관과 트랜지스터, 집적회로의 등장은 아날로그를 넘어 전자시대를 여는 전환점이 됐다. 1960년 한양대에 부임한 이만영 박사는 국내 최초의 아날로그 전자계산기를 개발한 정보통신 분야의 석학이다. 그는 1962년 1호기를 완성했지만 1963년 화재로 1·2호기가 소실됐다. 이후 6개월 동안 연구에 매진한 끝에 1964년 완성된 3호기는 진공관 610여 개와 부속품 4만여 개로 구성된 국내 최대 규모의 1세대 컴퓨터로 자리매김 했다.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는 2013년 국가 등록 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며 우리나라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로 남았다. 개인의 책상 위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개인용 컴퓨터는 일상의 풍경을 크게 바꾸어 놨다. 복잡한 계산과 문서 작성, 데이터 저장뿐만 아니라 텔레비전처럼 영상과 소리를 담아내며 우리의 생활 전반에 파고들었다. 값비싸고 제한적이던 대형 컴퓨터에서 벗어나 누구나 손쉽게 다룰 수 있는 기계로 자리 잡으며 정보 활용의 민주화를 이끈 것이다. 한양대 박물관은 컴퓨터가 단순한 계산 도구를 넘어 사고와 창작을 확장하는 매개체로 진화해 온 길을 보여준다. 이곳은 한양인들의 추억이 담긴 전자기기를 소개하는 참여형 공간이다. 오래된 휴대전화부터 라디오, 게임기까지 다양한 기기들이 사연과 함께 전시돼 관람객들에게 공감과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이곳에서는 전자기기가 우리의 일상에서 어떤 의미로 자리했는지 함께 나눌 수 있다. 출처 : 뉴스H https://www.newshyu.com/news/articleView.html?idxno=1019924
-
박물관소식언론보도 [뉴데일리경제] 한양대박물관, '시멘트' 주제 전시 도록으로 국립중앙박물관회 학술상 특별상 받아 한양대박물관, '시멘트' 주제 전시 도록으로 국립중앙박물관회 학술상 특별상 받아 한양대학교박물관은 지난 13일 국립중앙박물관회에서 연 제14회 국립중앙박물관회 학술상 시상식에서 특별상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회 학술상 특별상은 전년도 전시 도록을 대상으로 수여한다. 한양대박물관은 개교 85주년 기획특별전 '시멘트:모멘트'의 전시 도록으로 대학박물관 최초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시멘트:모멘트는 국내 최초로 시멘트라는 산업 소재를 주제로, 근현대 산업과 문화를 입체적으로 조망해 주목받았다. 전시와 함께 워크숍, 투어, 학술 세미나, 학생 공모전 등을 연계 운영하며 지역 문화 플랫폼으로서 박물관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한양대박물관의 전시 도록은 전시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면서 전문가 논고와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함께 수록해 전통과 현대, 산업과 예술을 아우르는 구성력과 학술성을 인정받았다. 또한 도록의 형식 자체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멘트의 물성인 '벽돌'에서 착안한 콘셉트로 디자인한 도록은 국내에서는 드물게 서구적이고 실험적인 시도로, 시각적 완성도도 우수하다는 평을 받았다. 안신원 관장은 "이번 수상은 한양대박물관이 시도해 온 실험적 기획과 새로운 시선이 결실을 본 것"이라며 "앞으로도 참신한 주제와 다층적인 해석이 담긴 전시를 꾸준히 선보이며 대학박물관의 공공적 역할과 학술적 깊이를 함께 확장해 가겠다"고 말했다. 출처: 뉴데일리경제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5/20/2025052000120.html
-
박물관소식언론보도 [비욘드포스트] 한양대 안신원 박물관장, 국가유산청장 유공표창 수상 한양대 안신원 박물관장, 국가유산청장 유공표창 수상 한양대학교는 한양대학교박물관 안신원 관장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국가유산귀속유산 보관관리 유공자로 선정돼 ‘국가유산청장 유공표창’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시상은 지난 24일 이뤄졌다. 안신원 관장은 2019년부터 4년간 (사)한국대학박물관협회 회장을 맡아 대학 박물관의 역할 확대와 매장유산 관리 체계 개선에 힘써 왔다. 이어 2020년부터는 국가유산청이 주관한 매장유산 미정리 유물 보존 및 정리 사업을 이끌며, 2022년까지 총 28만여 점의 유물을 정리하고, 이 중 5만 5천여 점을 국가에 귀속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이 같은 활동은 국가귀속유산의 효율적인 보관관리 체계 정비와 출토유물의 국가 귀속률 향상, 나아가 유물의 교육 및 전시 등 활용 확대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안 관장은 국가유산청장 표창을 수상하게 됐다. 한양대학교박물관은 2025년 한 해 동안 국가유산청으로부터 1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매장유산 미정리 유물 정리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수상 소감을 밝힌 안 관장은 “한양대학교박물관은 매장유산 분야에서 조사와 연구, 보존 및 관리까지 선도적 역할을 해왔다”며 “앞으로도 체계적인 유산 관리와 더불어 전시, 교육 등 다방면에서 문화기관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비욘드포스트 https://www.beyondpost.co.kr/view.php?ud=202504291833352360d2326fc69c_30
-
292025.08공지한양뮤지엄아카데미 15기 'To 근대, 대한제국 Dream' 개강안내한양뮤지엄아카데미 15기 "To 근대, 대한제국 Dream" 근대 국가를 꿈꾼 대한제국을 다시 만나는 시간 한양뮤지엄아카데미 15기에서는 ‘근대국가’를 향한 대한제국의 여정을 문화적 기획의 흐름 속에서 따라가며, 그 시대가 꿈꾸었던 미래와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의 흔적을 다시 살펴보고자 합니다. 정치와 제도의 틀을 넘어, 도시와 건축, 공예와 사진 등 당시의 다양한 문화적 실천을 통해 대한제국이 구상한 근대의 장면들을 함께 들여다봅니다. 이번 강연은 각기 다른 시각과 주제를 아우르며, 근대국가를 향한 대한제국의 상상과 기획을 입체적이고 다층적인 시선으로 조망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본 한양뮤지엄아카데미는 실시간 온라인(ZOOM) 강연과 오프라인 강연이 동시에 진행됩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신청기간] 2025년 09월 01일(월) 오전 10시 ~ 2025년 11월 19일(수) 오전 10시 [수강인원] 200명 [운영기간] 2025년 09월 18일(목) ~ 2025년 11월 20일(목) 매주 목요일 오후 2시~4시 (※ 한글날은 쉬어 갑니다.) [교육대상] 한양인(교직원 및 학생) 및 일반인 누구나 [수 강 료] 1인 30,000원(교재 우편발송) / 한양대학교 교직원 및 대학(원)생은 무료 [강연방법] 오프라인 강연, Zoom을 통한 실시간 온라인 강연 (※ 온·오프라인 강연 동시 진행) [신청방법] - 한양인 : 한양대학교 교직원 및 학생은 비교과포털(HY-LU)를 통해 신청 http://hylu-s.hanyang.ac.kr/ko/program/all/view/2289/description - 일반인 : QR코드 혹은 아래 신청서를 통한 메일(hymuseum@hanyang.ac.kr) 접수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GlSYVxJ-aWntSfvdiQZSU-o5p42pm6WNs8Q7pvRgSy92M7A/closedform [문 의] 한양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실 02-2220-1943, hymuseum@hanyang.ac.kr [유의사항] 📍한글날은 쉬어 갑니다. 📍4강(10/16)은 답사로 진행됩니다. 답사와 관련된 사항은 추후 별도로 공지됩니다. 📍온라인 강연 수강 시 PC,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 강연을 볼 수 있는 기기를 준비해주시기 바라며, WI-FI 환경에서 수강을 권장합니다. 📍강연 화면 캡처, 녹화 및 촬영, 녹음, 강의 자료 유포 등 해당 온라인 강연과 관련된 모든 자료의 무단 복제와 배포를 금지합니다. 📍한양뮤지엄아카데미 수료증의 경우, 6회 이상 수강 시 발급 됩니다.News & notice
-
252025.08공지한양대학교박물관 8월 휴관 일정 안내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입니다. 8월의 한양대학교박물관 휴관 일정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 8월 15일(금): 광복절 🇰🇷 - 관람 및 방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 한양대학교박물관에서는 인턴십 기획전시와 동아시아건축역사연구소의 새로운 전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3층 기획전시실과 4층 뮤지엄 라운지의 변신을 기대해 주시기 바랍니다. 무더운 여름, 시원한 한 주 되세요 :-)News & notice
포토한양뮤지엄인턴십 19기 기획전시 소개
한양뮤지엄인턴십 19기는 한양대학교 학생, 한양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원과 함께 7주간 직무 교육과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전시 기획 실습은 팀별로 기획안 작성과 패널 및 홍보물 디자인, 유물 선정 및 연출 등으로 이루어졌는데요. 인턴 학생들이 직접 기획한 전시, 함께 살펴볼까요? ✨ A조. 박물관, 다시 보기: 당신의 박물관은 어떤 모습인가요? ✨ B조. 문 門, 문 問. 📌 전시 기간: 2025.08.12.(화)~09.30.(화) 📌 장소: 한양대학교박물관 3층 입구 전시실, 4층 뮤지엄 라운지 한양대학교박물관에 방문하시면 19기 인턴들의 기획전시와 연계 체험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남은 전시 기간 동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포토[2025 박물관•미술관 주간] 감각의 확장, 전자시대_컴퓨터의 발전사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박물관입니다! 지난 ‘유물 뜯어보기’에서는 소장품의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이후, 컴퓨터의 놀라운 발전에 대해 알아볼까요? 💻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이후의 컴퓨터는 어떤 모습이었나요? 본격적으로 컴퓨터가 활용되기 시작한 1960년대 말부터는 IBM, FACOM, UNIVAC의 메인프레임 컴퓨터로 천공카드와 자기테이프 등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했습니다. 이후 이동식 컴퓨터, 양자 컴퓨터 등 점차 편리해지고, 복잡한 계산을 처리할 수 있도록 발전했습니다. 👥️ 컴퓨터의 등장으로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나요?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활용을 위해 키펀처, 오퍼레이터 등 새로운 직업이 생겨났으며 1980년대에는 교육용으로 강조되면서 일명 ‘퍼스널컴퓨터’의 시대가 열렸습니다. 컴퓨터가 AI로 진화한 현재, 인간과 컴퓨터는 앞으로 어떤 관계로 변화하게 될까요? 다음에는 최초의 컴퓨터인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3호기를 돌아보며 ‘최초, 그리고 시작’에 대한 마무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박미주간_ @museum_week 한국박물관협회_ @kormuseumnews #2025박물관미술관주간 #2025MUSEUMWEEK #뮤지엄만나다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박물관 #소장품이야기 #박미주간 #최초그리고시작 #아날로그전자계산기3호기 #이만영 #진공관 #오실로스코프 #컴퓨터발전사 #퍼스널컴퓨터
자세히 보기